교육과정 정리/국어 이거만 알아?

고3 국어 언어와매체 ( 언매 ) 목차 및 기출문제

서당애서 2025. 3. 17. 20:25

고등학교 3학년 ‘언어와 매체’ 교과서 목차 및 단원별 분석

고등학교 3학년 ‘언어와 매체’ 과목은 국어의 깊이를 탐구하고, 현대 사회에서 매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법을 배우는 중요한 과목입니다. 그러나 출판사마다 구성과 강조하는 내용이 다를 수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주요 출판사의 교과서 목차를 비교 분석하고, 각 단원의 핵심 내용을 짚어보겠습니다.

창비교육 ‘언어와 매체’ 목차 및 분석

창비교육의 ‘언어와 매체’ 교과서는 국어의 구조적 요소와 매체 활용을 균형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이 교재는 언어의 본질을 깊이 탐구하는 동시에 현대 사회에서의 매체 활용 능력을 길러주는 데 중점을 둡니다.

단원 핵심 내용
언어와 매체의 본질 언어의 특성과 국어의 위상을 학습하며, 매체의 역할을 분석합니다.
국어 구조의 탐구 음운 체계, 단어의 구조, 문장의 짜임 등을 분석합니다.

천재교육 ‘언어와 매체’ 목차 및 분석

천재교육 교과서는 실용적인 국어 사용법과 매체 분석에 집중합니다. 특히 매체 활용법을 강화하는 점이 특징입니다.

  • 📌 국어의 음운과 표준 발음 학습
  • 📌 문장의 짜임과 문법 요소 분석
  • 📌 매체 자료의 구성 및 정보 전달 기법 이해

비상교육 ‘언어와 매체’ 목차 및 분석

비상교육 교과서는 학습자의 탐구력을 높이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어의 역사와 다양한 자료 해석을 강조합니다.

주요 단원 설명
국어의 역사 국어 변천 과정과 언어의 사회적 변화를 분석합니다.
매체 활용과 소통 미디어 리터러시와 정보 해석 능력을 기릅니다.

📝 유형①: 중세 국어 문법 및 형태소 분석 문제 (난이도: 상)

예시 문제 다음 중 중세 국어에서 활용이 잘못 분석된 것을 고르시오.

① 가다 → 가니, 가거늘 (불규칙 활용) ② 오다 → 오라, 오니 (규칙 활용) ③ 하다 → 하야, 하니 (불규칙 활용) ④ 듣다 → 들어, 들으니 (불규칙 활용) ⑤ 보다 → 보아, 보니 (규칙 활용)

풀이법

  • 중세 국어에서는 활용 형태를 암기하는 것보다 활용의 불규칙/규칙성을 판단하는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가다', '하다', '듣다'는 중세 국어에서도 불규칙 활용이었습니다. '오다'와 '보다'는 규칙 활용입니다.
  • 정답은 입니다. '오다'는 현대어에서는 불규칙 활용(와라)이지만, 중세 국어에서는 '오라, 오니'로 규칙적이었습니다.

📝 유형②: 문장성분과 서술어의 호응 관계 문제 (난이도: 상)

예시 문제 다음 문장에서 서술어와 주어의 호응 관계가 잘못된 문장을 고르시오.

① 그 책이 내가 어릴 적 읽었던 책이다. ② 학생들의 성적 향상에 가장 중요한 것은 끈기와 노력이다. ③ 나의 꿈은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이 되기 위하여 열심히 노력했다. ④ 김 작가는 뛰어난 감각으로 작품을 창작하였다. ⑤ 이번 시험의 결과는 모두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

풀이법

  • 주어와 서술어의 의미상 일치를 따져야 하는 문제입니다.
  • 정답은 입니다. '나의 꿈은 노력했다'라는 표현은 어색하며, "나의 꿈은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이 되는 것이다." 등으로 수정해야 합니다.

📝 유형③: 음운 변동 및 교체 현상 분석 문제 (난이도: 상)

예시 문제 다음 단어의 음운 현상이 잘못 연결된 것은?

① 국물 [궁물] : 비음화 ② 밟고 [밥꼬] : 자음군 단순화, 경음화 ③ 닫히다 [다치다] : 구개음화 ④ 핥는 [할른] : 유음화, 자음군 단순화 ⑤ 꽃잎 [꼰닙] : 유음화

풀이법

  • 음운 현상은 문제에 등장한 단어의 발음을 명확히 파악하고 적용되는 현상을 순서대로 분석해야 합니다.
  • 정답은 입니다. 꽃잎은 유음화가 아니라 비음화(꼰닙)가 발생한 것입니다.

📝 유형④: 피동과 사동 표현 구별 문제 (난이도: 상)

예시 문제 다음 문장 중 사동 표현이 사용된 문장을 고르시오.

① 문이 열렸다. ② 아이가 옷을 입었다. ③ 선생님이 학생들을 자리에 앉혔다. ④ 꽃이 피었다. ⑤ 집이 지어졌다.

풀이법

  • 피동과 사동 표현을 구별하는 핵심은 '행위를 시키는 주체의 유무'입니다.
  • 정답은 입니다. '앉혔다'는 사동 표현으로, 주체가 행동을 하도록 시킨 상황을 나타냅니다.

🔑 언매 문제 풀이 고득점 팁:

  • 기본 개념 철저 정리: 음운, 형태소, 문장 성분 등의 기본 개념 숙지는 필수!
  • 오답 패턴 분석: 고난도 문제에서 반복되는 오답 유형을 정리하여 자신만의 노트를 만드세요.
  • 지문 내 키워드 체크: 문제에서 제시한 키워드를 통해 답을 도출하는 습관을 기르세요.

 

 

자주 묻는 질문(FAQ)

Q. 출판사별 교재 선택 기준은?
A. 창비교육은 국어 구조에 강하고, 천재교육은 실용적이며, 비상교육은 탐구형 학습을 제공합니다.
Q. 시험에서 가장 중요한 단원은?
A. 음운 변동, 문법 요소, 매체 분석이 자주 출제됩니다.

마무리 및 학습 방법 추천

국어의 본질과 매체 활용 능력을 높이려면 지속적인 연습과 실전 문제 풀이가 중요합니다.